내용순서
구례와 광양에 산수유와 매화를 보러 들렀다가
지리산 3대 명찰 중의 하나인 천은사에 들렀습니다.
예로부터 지리산의 한국을 품은 어머니와 같은 육산으로
명산으로 여겨집니다.
지리산 서쪽의 노고단(1597m)은 최고봉인 천왕봉(1915m) 반야봉(1732m)과 함께
지리산의 3대 주봉 중의 하나입니다.
차일봉 남쪽에 조용히 자리를 잡고 있는 산사가 천은사입니다.
대한불교 조계종 제 19교구 화엄사 말사로써
전라남도 구례군 광의면 노고단로 209에 위치합니다.
이슬처럼 맑고 차가운 샘이 있고 그 물을 마시면
머리가 맑아진다고 하여 처음에는 감로사(甘露寺)라고 하였습니다.
또한 예로 부터 천은사 계곡의 물맛은 좋다고 유명하였으며
지금도 물맛이 좋다고 합니다.
신라 흥덕왕3년에 덕운선사가 창건하였고
고려 충렬왕떄는 '남방 제일 사찰'로 승격되기도 하였습니다.
조선시대 임진왜란으로 소실된 수 중건할 때
샘에 큰 구렁이가 나타나 잡아 죽였더니 샘이 솟아나지 않아
그때부터 이름이 천은사(泉隱寺)라 불려졌습니다.
그런데
그 후 이름모를 재앙이 절에 계속 일어나자
조선 4대 명필의 한 사람인 이광사가 흐르는 물같이 쓴
'지리산 천은사'라고 현판 글씨를 써서
일주문 현판으로 걸었더니 그 뒤로 재앙이 그쳤다는 이야기가 전해집니다.
특이할 사항으로는
극락전의 아미타후불탱화가 유명합니다.
(이것은 아미타불과 팔보살, 십대제자, 사천왕과 청문중을 묘사한
아미타불회도로 극락전의 주존불 뒤에 상단화로
봉안되어 있는 후불도입니다. 1987년 보물로 지정되었습니다.)
이 외에도 천은사는 여러 불화를 소장하고 있습니다.
불화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에게는 중요한 사찰입니다.
천은사 옆에는 지리산으로 부터 내려온 계곡의 물이
내려와 이룬 저수지인 천은제가 있습니다.
여러모로 천은사는 물과 인연이 있다고 하겠습니다.
천은사 옆의 계곡을 광의천이라고 하는데 이는 여기 지역이름이 광의면이라서 이름이 붙여졌습니다.
과거에는 이 광의면의 많은 지역이 천은사 사찰의 땅이었다고 합니다.
과거에는 사세가 매우 컸다고 합니다.
광의천이 모여 이룬 천은제 저수지에는 수홍루라는 무지개다리가 위치하는데
여기서의 일몰이 아주 멋진 풍경을 만들어 낸다고 합니다.
또한 천은사 보리수나무가 유명합니다.
그 초기 생장은 알 수 없지만 이 보리수로 만든 염주가 유독 알이 고르고 색이 곱다고 하여
스님들 사이에서도 인기가 많다고 합니다.
한국의 전통사찰의 전각배치의 특징답게 천은사도 자유분방한 가람의 배치를 보입니다.
역사적으로 불교내 종파의 교리가 전각의 배치에 영향을 주었다고 합니다.
일반적인 특징으로는 한국의 사찰은 서향의 건축과는 다르게
좌우대칭의 기하학적 도식을 따른다기보다는
자연스럽게 산의 경사와 사람의 동선 등 자연스러운 배치를 따랐습니다.
이것은 자연주의적인 사상 즉 자연에 순응하는 자연관에서 비롯되었다고 해석됩니다.
유독 천의사의 일주문으로 가는 여정이 길고 곧게 느껴집니다.
사찰 시작은 삼문(일주문, 천왕문, 해탈문) 중의 시작인 일주문부터 시작된다고 합니다.
여기서부터 마음가짐을 다듬고 부처를 만나러 가는 길로 들어서는 것입니다.
천은사의 일주문은 팔작지붕으로 되어 있는데
팔작지붕은 규모가 작더라도 중요한 의미가 있는 건물일 경우 쓰였습니다.
본래 건축의 규모보다 위엄을 보이고자 할 때 쓰였으며
이는 치마선 이거나 새의 날개 거나 하는 형태를 띠어
경쾌하면서도 화려한 위엄을 나타낸다고 하겠습니다.
더욱이
원교 이광사가 쓴 일필휘지의 기운이 느껴지는 현판이 걸려 있어
그 위엄과 중요성이 더한 상징을 갖습니다.
(지리산 천은사라고 물 흐르는 글씨체로 쓰였습니다.)
다시 정리하면
팔작지붕의 건축물로 장대석을 쌓아 기단을 올렸으며
윗면은 화강암 판석으로 마감하였습니다.
조선시대의 건축양식과 지리적 특성의 반영으로 인하여
2022년 보물로 지정되었습니다.
천은사 옆에는 천은제(천은 저수지)가 있습니다.
비가 와서 더 은근한 멋이 나는 듯합니다.
산사를 방문한 관광객을 위하여 천은저수지 둘레길을 만들었다고 합니다.
데크로 만들어져 있어 보행약자도 즐길 수 있다고 합니다.
나눔길, 보듬길, 누림길로 구간이 나누어져서
천은사 수홍루에서 제방까지의
총 1.1km라고 합니다.
[둘레길] 쉬운 걷기 코스 안산자락길 서울둘레길 (0) | 2025.03.20 |
---|---|
[여행명소] 쉬자파크 양평여행 경기도여행 가볼만한곳 상세정보 (0) | 2025.03.20 |
[여행명소]2025년 봄 구례여행 지리산 화엄사 방문하기 홍매화 들매화 개화상황 (1) | 2025.03.19 |
[여행명소]2025년 구례 산수유축제의 모든것 상세정보 교통정보 지도 개화상황 (0) | 2025.03.18 |
[여행명소] 순천만습지 갯벌 대한민국 꼭 가봐야할 곳 (0) | 2025.03.14 |